차곡차곡

유사암 종류 및 특징 확인

유사암 종류 진단비

암보험 광고 등을 보다보면 제자리암, 경계성종양 그리고 유사암, 소액암, 고액암 등 익숙한 듯 익숙하지 않은 정확하게 그 정의를 파악하기 힘든 단어들이 나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 유사암 이라는 것이 도대체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암이 맞는지 그렇다면 어떤 종류가 있고 그 특징은 무엇인지를 한번에 정리해 보겠습니다. 

 

** 목차 ** 

유사암이란 

유사암 종류 

유사암 종류별 특징 

유사암 진단비

 

 

 

유사암이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암은 크게 일반암, 고액암, 소액암 그리고 유사암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고액암과 소액암은 보험사마다 약간씩의 정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만 거의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유사암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생김새는 암을 닮았으며 성격은 암에는 있을 수 없는 병변. 어떤 병변이 암인지 판단할 수 있는 여부는 현미경을 사용한 병리진단으로 판별하게 됩니다. 이 병리진단은 암세포의 생김새로 성격을 맞추는 것이라 일정한 비율의 오류는 있습니다. 특히 조기암에 유사암이 많으며 자궁의 상피내암은 적어도 80%, 유아검진에서 발견되는 신경아세포종의 거의 대부분이 유사암으로 추정된다 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유사암이라는 것에 관해서는 거의 모두 동의를 하지만 그 비율에 관해서는 논쟁이 많아서 각 보험사에 따라서도 보장의 범위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사암 (類似 무리 유, 같을 사) 한자에서 보듯이 유사하다 즉 비슷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어서 암과 비슷하다, 비슷한 암이라는 의미로 생각하면 될 듯 합니다. 또는 조기암을 생각해도 되겠습니다. 

 

 

유사암 종류 

위에서도 언급되었지만 암은 크게 고액암, 소액암, 유사암, 일반암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좀 더 세세한 구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고액암

혈액암, 뇌암, 중추신경계 기타 부위 암, 폐암, 뼈/연골암, 췌장암 등 

손해보험사에서의 고액암은 뇌암, 뼈암, 혈액암, 췌장암, 식도암을 5대 고액암으로 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생명보험사에서의 고액암은 뇌암, 뼈암, 혈액암을 3대 고액암으로 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액암 

유방암, 자궁암, 방광암, 전립선암 (남녀생식기암)

 

유사암

갑상선암, 제자리암(상피내암), 경계성종양, 기타 피부암

 

일반암 

유사암을 제외한 모든 암 

 

 

 

이렇게 4가지로 구분해서 볼 수 있는데 이 중에서도 우리가 오늘 볼 것은 유사암입니다. 유사암 또한 각 보험사에 따라서 약간씩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일반암에 속하는 악성 흑색종 이외의 기타 피부암, 경계성종양, 갑상선암, 제자리암 이 4가지로 정의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초기암의 경우일 확률이 높다고 했는데 그래서 다른 암에 비해 치명률과 치사율이 낮은 편입니다. 다만 발병률 자체는 높습니다. 암과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지만 성격은 암이 아니고 증식과 전이를 하지 않는 것이 또한 이 유사암의 특징입니다.

 

암이라는 진단을 받으면 거기에는 보통 몇기라는 말이 붙습니다. 1기 암이면 나름 안심을 하기도 하는데요, 유사암이란 이 1기도 되지 않은 0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1기부터가 일반암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유사암종류

유사암 종류별 특징 

제자리암 (상피내암)

제자리신생물 분류표에서 정한 질병을 말합니다. 제자리암 진단 확정은 병리 또는 진단검사의학의 전문의사 자격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내려져야 합니다. 이 진단은 조직검사, 미세바늘흡인검사, 혈액 검사에 대한 현미경 소견을 기초로 해야 합니다. 

 

상피 내에 암세포가 국한되어 비정상적인 증식을 일으킨 경우이므로 제자리암을 상피내암이라고도 부릅니다. 상피조직에서 암이 발생할 경우 우선 상피조직 내에 국한되어 증식하다가 기저막을 뚫고 주변조직으로 침범하는데 제자리암은 상피조직에서 발생한 암세포 증식이 아직 주변조직으로 침범하지 못하고 상피조직 내에 머물러 있습니다. 

 

제자리암이 많이 진단되는 암은 유방암, 자궁경부암, 요로상피암 등이 있습니다. 대부분 특별한 증상이 없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자리암 치료는 대부분은 병변을 절제하는 것으로 치료됩니다. 그리고 그 병변을 완전히 절제하면 대부분 완치되지만 아주 드물게 재발할 수 있습니다. 

 

구강, 식도, 위 제자리암종 분류번호는 D00

기타 및 상세불명의 소화기관의 제자리암종 분류번호는 D01

중이 및 호흡계통의 제자리암종 분류번호는 D02

제자리 흑색종은 D03, 피부의 제자리암종은 D04

자궁경부의 제자리암종은 D06

기타 및 상세불명의 생식기관의 제자리암종은 D07, 기타 및 상세불명 부위의 제자리암종은 D09 입니다. 

 

경계성 종양 

유사암 중 하나인 경계성 종양이란 악성과 양성 모두의 성격을 가진 암으로 악성이 될 수도 있고 양성으로 남아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상 D37~D48, 행동양식불명 미상의 신생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종양은 우리 몸 어디에서나 생길 수 있으며 악성이 될지 양성으로 남을지 알 수 없는 종양이기 때문에 발견되면 제거해야 합니다. 진단확정은 병리 또는 진단검사의학의 전문의사 자격증을 가진 자에 의해 내려져야 합니다.

 

구강 및 소화기관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분류번호는 D37

중이, 호흡기관, 흉곽내 기관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D38

여성 생식기관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생의 신생물 D39

남성 생식기관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D40

비뇨기관의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D41

수막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D42

뇌 및 중추 신경계통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D43

내분비선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D44

행동양식 불명 및 미상의 조직구 및 비만세포 종양 D47.0

미결정의 단클론감마글로불린병증 D47.2

기타 명시된 림프, 조혈 및 관련 조직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D47.7

림프, 조혈 및 관련 조직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상세불명의 신생물 D47.9 

기타 및 상세불명 부위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D48

 

 

갑상선암 

보통 중년이상의 여성에게서 많이 생기는 착한 암이라는 오해를 많이 받고 있는 암이 바로 이 갑상선암입니다. 하지만 이 또한 암은 암이니만큼 가볍게 봐서는 안됩니다. 갑상선 호르몬을 분비하는 이 곳에서 혹이 생기는 것을 결절이라 하며 이렇게 생긴 결절 중 약 5~10%는 갑상선암이 될 확률이 높으며 50대 여성의 반 이상은 갑상선과 관련된 질환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갑상선암 자체는 초기에 진단을 받게 되면 즉 유사암 또는 1,2기 정도만 되어도 완치 확률은 90% 이상이며 4기 진단 생존률은 40%미만이 됩니다. 또한 가족력이 있다고 보여집니다. 

 

갑상선의 악성신생물 분류번호는 C73입니다. 

유사암 진단비

기타피부암 

유사암 종류 중 하나인 기타 피부암이란 악성 흑색종을 제외한 피부암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피부암 그러면 모두 악성 흑색종이다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악성흑색종은 피부 내부에게까지 암이 침투된 것이며 피부의 겉에서만 발생하면 기타 피부암이라 이야기하게 됩니다. 

 

기타 피부의 악성신생물 분류번호는 C44입니다. 

 

 

 

유사암 진단비 

2022년 8월부터는 일반암 진단비의 20%까지 내려갈 예정이었지만 우선은 50%까지만 낮추기로 되었습니다. 현재로서는 2022년 10월에는 20%로 내려갈 것으로 보입니다.

 

보험사들이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유사암 진단비 한도를 올려서 5000만원으로 오른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러한 과도한 유사암 진단비 마케팅 자제를 위해 우선 50%로 시작해서 점진적으로 진단비를 낮추게 되었습니다.

 

만약 일반암 진단비 가입 비율이 100이면 유사암진단비도 최대 2000만원까지는 100% 가입이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20%까지 내리게 된다면 일반암 진단비 1억에 가입해야 유사암 진단비 한도를 2000만원 가입할 수 있게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유사암 종류 및 그 종류별 특징과 유사암 진단비 관련된 최근 소식까지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